2019. 6. 28. 12:22ㆍ과학
이번에는 과학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인 물리학에 대한 것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과연 우리는 물리학에 대한 것을 평소에 어떻게 알고 있을까요? 그리고 현재 우리 일상에는
어떻게 스며들어서 어떻게 활용 되고 있는지도 궁금증이 있을겁니다.
그래서 오늘 이렇게 물리학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물리학이란??
물리학은 물질과 그 것의 시공간에서의 운동, 그리고 그것과 관련된 에너지나 힘 등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 입니다. 가장 기초적인 과학의 한 분야로 물리학의 목표는 우주 또는 자연이
어떤 식으로 운동하는가를 놀리적으로 이해하는 것 즉, 모든 물체의 운동원리를 규명 하는것입니다.
이처럼 인간은 물리학적 사고를 구조적으로 차악할 수 있기 때문에 물리학은 철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라고 할 수있는것이 바로 물리학입니다.
물리학은 역사가 긴 학문 중 하나로 천문학을 초함한다면 가장 오래된 학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2천년 이상의 기간 동안 물리학은 화학, 생물학 그리고 특정분야의 수학등과 함께 자연철학 일부였지만
17세기 과학혁명 이후 엄격한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경험적 지식만을 다루게 되면서 물리학은
철학에서 분리되어 독자적인 학문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유럽 언어에서 물리학의 뜻하는 단어는 자연을 뜻하는 피시스에서 유래하였다라고 합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학에서 여러가지 운동에 대해 설명을 하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서양 언어에서는 물체의 운동과 그에 미치는 힘 등을 연구하는 학문을
이 그리스 단어를 따서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물리학에 대한 책들이 여러가지 소개가 되고 있는것이 사실입니다만 일상생활에서는 물리학에 대한것을
그렇게 잘 느끼지 못할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학의 분야는 일상생활에도 잘 스며들고 있으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분명히 그 물리학에 대한 과학이 쓰여질것입니다.
물리학은 갈릴레오 갈릴레이 이후 물체의 운동과 같은 물리 현상을 수리 모형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아이작 뉴턴은 고전 역학을 수립하면서 동시에 이를 설명하기 위한 수리 모형을 위해
새로운 수학영역인 미적분학을 개척하기도 하였습니다. 조제츠루이 라그랑주와 같은 학자들은
물리학에서 다루는 모든 현상에서 수리모형을 수립하고자 했습니다. 현대 물리학에서도 수리 모형은
예측과 가설 검증의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이 됩니다. 특히 물리학이 다루는 수리모형과 관련된
수학적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을 수리물리학이라고 합니다.
현대의 물리학은 매우 다양한 세부 학문으로 나뉩니다. 다루는 대상에 따라 기본 입자와 같은
미힙자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려는 입자물리학이나 우주와 천체에 대해 연구하는 천체물리학과
같이 구분되기도 하고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체계를 세우는 이론물리학과 실험을 통해 해당 이론을
검증하려는 실험물리학으로 구분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역학 전자기학, 광학과 같이 특정한 분야별로
나뉘어 불리기도 합니다. 한편 현대물리학은 지구과학 기상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들과도
학제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물리학은 여러 학문에서 다루는 대상들의 기본적인 성질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초과학이라고도 불리우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여러가지의 기초과학이라고 불리우는 물리학에 대하여 조금 알고 가기 위해 이렇게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시대 과학에 속해져 있는 연금술 (0) | 2019.06.25 |
---|---|
인류에서 빠질수 없는 과학 인문과학 즉 인문학 (0) | 2019.06.24 |
백두산이 폭발한다??그럼 어떻게 될까? 지구과학 (0) | 2019.06.20 |
말로만 듣고 잇었던 기술 핵융합 (0) | 2019.06.16 |
우리의 일상이 되어버린 중력 (0) | 2019.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