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6. 2. 09:04ㆍ과학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지구에서 항상 쳇바퀴가 굴러가듯이 일상생활을 하는 이들이 대부분일거에요.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라는 행성 안에서 열심히 사는것도 중요하겠지만 한편으로는 이렇게 시야를 넓혀보는
연습을 하는것도 괜찮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이렇게 위의 사진처럼 드넓은 우주의 사진을 보면 나 자신이 얼마나 작게 느껴졌는지에 대한것도 생각이 들고
또 한편으로는 이 우주의 끝이 어디까지 일까? 라는 생각과 의문이 생기는것도 있지요.
어렸을적 생각을 해보면 시골에서는 밤하늘에 이렇게 별자리를 확인할 수 있는 시절이 있었지요. 도시에서 결코
못보았던 수많은 별자리를 보고는 잠에 빠져들곤 했었던 기억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항상 우주는 행성이 생기고 또는 수명을 다한 행성인 이렇게 초신성이 되어서 우주에서 사라져버리지요. 또 우주
어딘가는 블랙홀이 생겨서 행성을 집어삼킬 정도의 크기가 일어나서 어딘가로 통하게 되는 길인지 모르지요.
항상 우주는 비밀에 둘러싸여져 있는것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우리 인간들이 우주에 대한 비밀을 찾아낸것이 아마도
제 생각에는 3%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정도로 우주는 오래되었고 어떻게 형상이 되어 있는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리고 우주는 점차적으로 커져간다는 말도 듣긴 들었습니다.
지금 과학 기술로는 절대로 우주여행을 할 수 없는 이러한 우주가 계속적으로 커져간다? 한번 생각을 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
그래서 인간들은 이러한 비밀을 조금이라도 풀고자 고대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있어온 천문학이 있습니다.
이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일찍 태동한 학문 중 하나이며 선사시대를 예로 들자면
여러문명에서 피라미드, 스톤헨지 등과 같은 동서양 초기문명들은 밤하늘에 관한 천문학적 유물들을 넘겼고
그러다 보니 망원경을 발명하여 천문학은 지금 현대과학에 큰 발전을 기여하였습니다.
천문학은 여러 자연과학 분야 중 하마추어들의 공헌이 아직도 큰 분야 중 하나이며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특히 혜성,
소행성, 초신성과 같이 시간에 변화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관측을 하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천문학은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고대시대부터 있어온 학문으로써 당시 인간들에게 가장 중요하였던 농사와
날씨예견 그리고 해양, 지리관측 측량이 중요한 동기라고 볼수 있습니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에 고대사람들은
천문대를 만들어 눈으로 별자리를 관측하면서 날씨와 변화를 알아내곤 했었지요.
정말로 파고들면 계속적으로 빠져드는것이 천문학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이 천문학을 토대로 우리 지구는 둥글다는것을 알게되었고 우리가 중심이 아니고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돈다는 것을
알게 해준것이 바로 천문학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이건 우리나라의 해시계가 아닌 고대 그리스의 해시계입니다.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에서 발견이 되었고
추정년도는 기원전 2~3세기 정도로 추정이 되어서 고대부터 이 해시계를 사용하였다라는 확실한 증거가
나오기 시작을 하였지요. 보다시피 천문학의 중요한 발전은 고대 그리스에서 부터 시작을 하였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습니다. 기원전 3세기 아리스타르코스는 지구의 크기를 계산하고 달과 태양까지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을 하였고 처음으로 지동설을 제안한것으로 열려져있지요. 정말로 대단하지 않습니까? 현대의 과학컴퓨터를
사용도 하지 못하고 오직 인간의 힘으로만 필요한 시기에 이렇게 태양까지의 상대거리롸 지구의 크기를 계산을
하였다는것이 정말로 믿기지가 않습니다.
아무튼 그리스로부터 중요한 발전을 시작한 천문학은 현재 우리 천문과학에 크나큰 기여를 하고 있는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다음편에도 한번 천문학에 관한 내용을 한번 더 집중적으로 다루어볼까 합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디까지 흡수를 하는거야? 진공청소기 같은 블랙홀 (0) | 2019.06.04 |
---|---|
누가 알수 있을까? 우주의 대폭발 빅뱅 (0) | 2019.06.04 |
다들 정말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 별자리 (0) | 2019.06.03 |
파면 팔수록 계속적으로 나오는 천문학 (0) | 2019.06.03 |
여러가지 종류의 천문학 (0) | 2019.06.02 |